철강업계에 갑작스러운 냉기, 일시적인 것인가?

최근 철강주들의 상황이 좋다.그 배경에는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두 가지 이슈가 컸다.

가격 문제: 중국 바오스틸은 철강 가격을 20% 가까이 올리고, 중국 바오스틸은 국내 가격을 톤당 350위안(약 6만7935원) 인상한다. 국내 철강업체들은 원자재 가격이 제품가격으로 넘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자동차·조선·건설이익 피해 우려(종합) – 아시아경제(asiae.co.kr)

공급 문제: 러시아 공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본 유럽 최대 철강공장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에 있는 러시아 아조프스탈 공장,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 최대 철강업체인 세베르스탈 공장, 국내 철강 가격의 프리미엄으로 공급 차질이 우려돼 파산 위기에 처했다.끓어오르는 한국철강 매일경제(mk.co.kr)는 우크라이나 폭격으로 정전이 우려된다.강철 가격: 공감 프레스 뉴스 통신사: (newsis.com)

국내 철강업체들의 원자재 수급이 불안한 요인으로 볼 수 있고, 국내 철강업체들은 주로 호주와 브라질에 위치한 업체에서 원자재를 수입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공급 차질은 없다.그러자 철강시장의 분위기가 갑자기 싸늘하게 변했다.

철강업계에 갑작스러운 냉기, 일시적인 것인가? 1

출처 : 네이버증권(3월 25일 기준)

철강업계에 갑작스러운 냉기, 일시적인 것인가? 2

출처 : 네이버증권(3월 25일 기준)

그 배경에는 미국과의 관세 및 수출 물량 협정이 있다.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외국산 철강·알루미늄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.당시 미국 정부는 →한국에 고율 관세 또는 쿼터 수용 →한국과 브라질·아르헨티나 쿼터 선택 →한국의 대미 무관세 수출은 2015년 평균(383만t)의 70%인 263만t으로 줄었다.

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, 산업통상자원부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최근 한미 FTA 10주년을 맞아 미국을 방문했습니다.누구를 만났습니까? 당신은 왜 미국 무역 대표 캐서린 타인을 만났습니까? 철강수입제한 무역확장법 232조 개선 필요성 설명 및 협의 촉구

하지만, 그것은 미국의 무거운 무역 장벽을 극복하는 데 실패했습니다.정부가 미국과 철강 협상을 하고 빈손으로 돌아온다. 한국 측 홀대 논란서울신문(seoul.co.kr) 미 상무장관 “한국과 철강 쿼터 재협상 계획 없다” 아시아경제(asiae.co.kr)는 한국산 철강제품의 대미 수출 제한 문제를 놓고 재협상할 계획이 없다.그래서 재협상은 현재 우리에게 큰 우선순위는 아니다.지나 루몬도, 미국 상무장관

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철강업계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냉각됐다.P와 C의 상황이 나아지는 것 같지만, Q에 걸려 있다.

하지만 미국이 재협상 계획이 없다는 것은 수출 물량이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까?판매량은 같지만 가격을 올려 팔 수 있다면 여전히 철강업체들에게 유리한 상황이 될 것이다.다음 주에 주식 시장 상황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하지만 철강업계의 반응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.철강업계는 일본의 ‘2018~2019년’ 수출 물량과 협상할 경우 무관세 수출이 238만톤으로 25톤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.

#철강주 #철강관련주 #한미FTA #무역확장법